한우 | 한돈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꽃등심 스테이크용 | 꽃등심 구이용 | 등심 스테이크용 | ||
한우의 기본 등심, 그 중 으뜸인 꽃등심은 마블링이 탁월하여 스테이크에 활용하기 좋은 부위 |
부드럽고 연한 육단백질로 마블링의 지방과 어우러져 고소한 감칠맛이 풍부한 부위 |
소 전체를 통틀어 가장 인기있는 대표적인 부위로 스테이크에 맞게 중량별로 썰어서 제공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등심 구이용 | 채끝 스테이크용 | 채끝 구이용 | ||
마블링이 적절하여 별다른 양념없이 구워도 깊은 감칠맛과 풍부한 육즙이 있는 부위 |
마블링과 육단백질의 절묘한 비율로 단백하고 고소하며 진한 향미가 있는 고급 부위 |
육량이 높은 부위로 로스 구이용에 어울리며 고소한 맛과 향이 일품인 고단백 제품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부채살 스테이크용 | 부채살 구이용 | 제비추리 | ||
부채살은 소의 앞다리 위쪽에 있는 부채모양의 근육으로 힘줄 부분을 손질하면 스테이크로도 적합한 부위 |
특수부위 중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며 씹을수록 쫀득한 힘줄의 식감과 풍부한 육즙이 일품 |
희소성이 높은 부위로 육질이 연하고 담백하며 굵고 거친 고깃결로 고소한 맛이 나는 부위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안심 스테이크용 | 안심 구이용 | 업진살 | ||
전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는 스테이크 부위로 마블링의 관여가 크지 않아도 부드러운 육질이 일품 |
살코기의 비율이 지배적이지만 육질이 소고기 중 가장 부드럽고 담백한 맛이 일품 |
살코기가 질기지 않고 근육 사이의 지방이 마블링 역할을 해 맛이 진하며 풍미와 저작감이 좋은 부위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치마살 | 우둔살 | 찜갈비 | ||
육질이 부드럽고 지방이 풍부해 만족스러운 맛을 내며 호불호가 갈리지 않는 부위 |
육단백질의 비율이 월등한 부위로 덩어리, 큐브, 스테이크, 다짐육 등 용도에 맞게 제공 |
찜갈비는 뼈에 붙은 고기 자체로 풍미를 가득 머금은 골즙과 살코기 육즙의 조화가 일품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샤브샤브용 | 국거리용 | 잡채용 | ||
가장 얇은 두께로 제공되는 샤브샤브용 한우로 불고기로도 활용 가능 |
다양한 요리에 활용이 가능하며 지방이 적고 육단백질이 풍부함 |
우둔, 설도 등의 저지방 고단백 부위를 채썰기로 제공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차돌박이 | 장조림용 | 산적용 | ||
꼬들꼬들 씹는맛과 고소하고 진한 향미가 있으며 바로 구워드실 수 있는 얇은 두께로 제공 |
지방이 적고 육단백질이 풍부한 우둔, 설도, 사태 등의 우수한 부위로 덩어리로 썰어서 제공 |
제수용으로 많이 활용되며 육질을 부드럽게 가공처리 후 중량에 맞게 넓적하게 제공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다짐육 | 카레용 | 우족 | ||
우둔, 설도 등 육량의 비율이 높은 담백한 부위로 식감이 풍부한 알갱이 타입의 핸드메이드 제품 |
우둔, 설도 등 지방이 적고 육량의 비율이 높은 담백한 부위를 큐브 형태로 썰어서 제공 |
콜라겐과 칼슘, 지방질이 풍부하고 보양식으로 활용하기 좋으며 쫀득한 식감이 일품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사골 | 꼬리반골(반벌/한벌) | 잡뼈 | ||
국물이 잘 우러나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며 영양풍부 대표 보양식 |
귀한 보양재료인 꼬리반골은 국민 대표 보양식으로 반골(엉덩이뼈)와 함께 끓여서 사용 |
다른 보신용 제품을 끓이실때 함께 끓이거나 다양한 육수를 내는 용도로 활용 |